'지식의반감기'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3.05 지식의 반감기 - 새뮤얼 아브스만 (요약)
2016. 3. 5. 11:06




심리학자 하비 리먼 '모든 분야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수적 성장이 발생한다'


하버드 의대, 두 명의 연구자가 서로 가까이 있을수록 이들의 협력을 통해 나온 연구 성과는 더 큰 영향력을 발휘


노스웨스턴 대학, 팀을 이루어 협력하는 과학자들이 더 영향력 있는 논문을 써낼 가능성이 높다


이제까지 살아던 학자의 80%가 지금도 생존해 있다. 지금으로부터 300년 전까지의 사이 어느 시점에서건 이 말은 옳다

(1920년대 500명이 채 안 되던 미국 실험생물학회의 회원 수는 1999년대 후반이 되자 5만여 명으로 늘어남)


어떤 분야의 연구가 어려워지면 해당 분야의 과학자들은 더 많은 노력을 쏟거나 연구의 방향을 바꾼다


어떤 분야의 지식도 지수함수적으로 붕괴한다. 일부는 틀린 것이 아니라 새 지식이 낡은 지식을 대체


오스트레일리아 외과의사는 의과학적 분야의 지식도 45년마다 절반이 무효화

신경과학자 존 휼링스 잭슨, '의학에서 잘못된 지식을 몰아내는 데는 50년이 걸리고, 올바른 지식을 받아들이는 데는 100년이 걸린다'



분야 

반감기(년) 

물리학

13.07

경제학

9.38

수학

9.17

심리학

7.15

역사학

7.13

종교학

8.76



아이작 아시모프, 지구가 평평하다는 생각은 틀렸다. 지구가 완벽한 구형이라는 생각도 역시 틀렸다. 그러나 지구가 완벽한 구형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 것만큼이나 틀렸다고 생각한다면 그런 견해는 앞선 두 개의 틀린 생각을 합쳐놓은 것보다 틀렸다.


자기투과율은 어떤 물질이 자성을 띠는 (혹은 띠지 않는) 정도이다.

철의 자기투과율은 지속적으로 변화, 5년마다 자기투과율이 두 배가 됨

순수한 철을 만드는 기술적 방법이 개선되면서 철의 자기적 특성도 개선되었음


1960년 이래 미국 인구의 기대 수명은 매년 0.4년씩 증가

앞서 말한 증가 속도가 1년을 넘어가면, 그러니까 1 이하에서 1 이상으로 증가하는 일이 벌어지면, 인간은 '보험 통계 탈축 속도'를 얻는다

즉, 인간이 영원히 살 수 있다


물리학자 톰 머피, 에너지의 유한성에 관한 기본 개념에 입각해서 볼 때 인간은 우리 은하 안의 모든 에너지를 3,000년 이내에 모두 소진


호손 효과. 관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사람들의 행동이 달라지는 현상


경제학자들이 혁신과 새로운 지식의 개발은 인구 증가와 맞물려 진행되었다고 주장

마이클 크레머, 인구 증가가 기술 발전에 의해 한정(인구를 지탱하기 위해 기술이 더 많이 필요) > 기술 진보가 인구 규모에 비례 

+ 최근 연구 결과 인구밀도가 높은 경우혁신이 더 빨리 이루어짐

인구근 기술 개발의 단순한 모델(1차 모델)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사회학자 마크 그라노베터, '약한 끈의 강한 힘' 주장

사회적 연결이 강한 상태 또는 약한 상태 둘 중 하나라 상정

강한 끈을 통해 작은 그룹을 형성, 그룹들은 가끔 약한 끈을 통해 다른 단단한 그룹과 연결

이 약한 끈이 연결하는 유일한 수단이라서 네트워크 전체로 퍼뜨리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

최근 연구 결과가장 중요한 것은 중간 정도의 힘을 가진 끈이 지식을 퍼뜨리고, 가끔은 잘못된 지식을 확산시키는 힘


인류가 하나의 지식 상태에서 다른 지식 상태로 넘어가는 이 급속한 변화는 '상전이 Phase transitions'라고 불리는 광범위한 과학적 현상의 한 사례


전체적인 차원에서 볼 때 지식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방식에는 수학적 규칙성이 있다

P 대 NP 문제가 증명가능하다는 전제하에 풀리는 시점은 문제가 제기된 지 53년이 되는 2024년이 될 것 (예측값 41 or 50%)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왜 통화 정책에 관한 처음의 입장에서 돌아섰는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상황이 바뀌면 저도 마음을 바꿉니다." 응수


물리학자 막스 플랭크, '새로운 과학적 지식은 여기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하여 그들이 이러한 진실에 눈뜨도록 함으로써 승리를 거둔다기보다 결국은 반대자들이 죽고 새로운 진실에 익숙한 신세대가 성장해야만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 젊은 과학자라고 해서 새로운 생각에 더 개방적이지 않으며, 새로운 생각은 우리가 예측하는 것처럼 어떤 집단 속에서 그렇게 빨리 퍼져나가지 않는다


지식의 종류가 무엇이든, 업데이트된 최신 지식을 머릿속에 담는 것에 인간은 매우 서툴다


지식을 얻는 일에 관해서 더 나은 해법

자꾸 암기하려 하지 않고 그냥 포기하는 것

지식을 아무 때나 검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편이 낫다

역설적으로 기억에 의존하지 않음으로써 사람은 좀 더 업데이트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로빈 던바의 던바 숫자는 한 사람이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타인이 최대 몇 명인가

150에서 200 사이를 말하는 던바 숫자는 고대 로마 시대로부터 오늘날의 군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단위 전투 집단에 속해 있는 병사의 수와 대략 일치하며, 작은 마을의 주민 수와도 들어맞는다. 놀랍게도 소셜 네트워킹 분야의 눈부신 기술 발달에도 불구하고 2012년 현재 페이스북 친구의 평균값은 약 190명


긴밀한 사람의 수가 늘어날수록 각각에 대한 친밀도의 평균치는 떨어진다


최근 의대에서 학생들에게 '몇 년만 지나면 여러분이 배운 것 중 절반은 틀렸다는 사실이 드러날 텐데, 우리 교수들도 그 절반이 어느 것인지는 모른다' 가르친다


변화의 속도가 인식하기 힘들 정도로 너무 느리거나 인간이 스스로의 주변을 관찰하고 인식하는 방법 속에 도사리고 있는 맹점 때문에 우리는 지식이 항상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경우가 더 많다


Posted by cheer one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