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9.
단순화
1. 핵심ㅇ르 간파한다.
2. 나머지는 제거한다.
p13-14.
"덜 하기 법칙"
1. 제한 두기
2. 핵심 파악하기
3. 단순화
4. 집중하기
5. 습관들이기
6. 작은 것부터 시작하기
I.
p23-24
생산성에 관한 두 가지 법칙
첫 번째 법칙. 제한이 있으면 핵심적인 것만 선택하게 된다. 그러니 모든 일에 제한을 두는 법을 배워라
두 번째 법칙. 핵심적인 것을 추려내면서 우리는 최소한의 자원을 가지고 최대의 효과를 내는 길을 찾는다. 항상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핵심요소를 선별하라.
p25-26.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일 가려내는 방법
1. To Do List 확인. 계속적인 효과, 경력에 영향, 장기 목표와 연관성과 중요성등 자문
2. 자신이 세운 목표 중심으로 생각
p31-32
제한을 둠으로써 얻는 이득
-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단순화하여 스트레스 줄임
- 집중 가능
- 중요한 것 집중
- 성과
- 타인에게 "내 시간도 소중하다" 알림
- 효율성
p33.
제한의 범위 = 부담 + 발전 희망
II.
p41-43.
핵심가려내기 질문들
1. 내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는?
2. 나의 목표는?
3. 나의 선호도는?
4. 내게 가장 중요한 것은?
5. 더 큰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6. 장기적 효과는?
7. 필요한 것 vs. 원하는 것
8. 비핵심적 제거
9. 가려내기 반복
III.
p48.
단순화 = 비핵심적 제거
비핵심적인 업무 거절할 줄 알아야 함.
내 시간은 내가 먼저 소중히 여겨야지 남들도 소중한 줄 암
IV.
p51.
하나에 집중하기 : Single Tasking. MIT(Most Important Task)
현재에 집중하기
지금하는 일에 집중
긍정적인 것에 집중
V.
p61.
1. (인생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한 가지 습관 정하기
2. 계획잡기 : Trigger정하기
3. 목표 알리기 : on-line or 지인등
4. 매일 진행상황 보고
5. 자축
p65.
- 한 번에 한 가지 습관만
- 목표를 아주 쉽게
- 측정 가능한 목표 선택
- 일관성(매일 같은 시간)
- 매일 보고
- 긍정적 태도
VI.
p71.
작은 것부터 시작
- 한 가지에 집중하게 해 줌
- 에너지와 열의가 더 오래 지속
- 실행하기 쉽다
- 성공을 보장
- 점진적인 변화가 더 오래 간다
p77.
"한 가지 목표"시스템
1. 한 가지 목표 선택 : 절실하며 6~12개월 기간
2. 하위 목표 세분화
3. 이 주의 목표 설정
4. 그 날의 과제
p81. Project 정의 = 완성하는데 하루 이상 걸리는 일
p85. 장기 Project는 단기 Project로 세분화
* 끝내는 것에 초점 맞추기
- 마음 속에 결과를 그려보라
- Projec를 Task로 세분화
- MIT 3개 설정 및 완수
- 진행상황 계속 점검
p89.
Project 결정권이 타인에게 있다면,
- 자신만의 리스트 작성
- 시간 끌기
- 상사와 협의 & 선택하게 함
p94.
MIT의 세 가지 과제중 최소 한 가지는 "한 가지 목표"와 관련
p101.
몰입(flow) Tip
1. 자신이 좋아하는 일
2. 적당한 수준의 난이도
3. 방해 요소 사전 제거
4. 몰두
p104.
To Do List는 짧게
일괄처리로 효율화 : 전화, 이메일, 잡일, 문서업무, 회의 등
p111.
- 온라인 계정 수 줄이기
- 이메일 확인하는 시간 제한 두기
- 받는 메일 수를 줄일 것
p122.
받은 편지함 비우기
1. 임시 폴더를 활용하여 빈 상태 유지, 차후 정리
2. 이메일 밖으로 옮겨 처리
3. 최대한 빨리 처리
4. 삭제를 주저하지 말 것
5. 받은 편지함 비우기
p125. 답장 덜 쓰기 : 5문자 이하로 보내어 시간 절약
p127.
인터넷 사용 줄이기 - 知覺 : 실태점검 > 의식 : 계획수립 > 집중 : 차단 > 훈련 : 충동 극복
p136.
단순한 파일링 시스템
1. 없앤 다음 정리 : Inbox에 모두 넣기 > 차례로 검토 > 버리거나 남에게 주거나 보관
2. 단순한 파일링 : 그냥 철자순 관리
3. 즉시 처리
4. 준비물은 항상 충분하게 준비
5. 점차 서류 줄이기
- 참고자료는 on-line으로 정리
- 문서 줄이기
- 출력 X
p149.
모든 책임을 처음부터 한꺼번에 떠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책임은 한 번에 하나씩... 따로 떼어놓고 보면 부담스렇게 느껴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러나 그것들이 서서히 누적되어 우리의 삶을 집어 삼기고, 결국 우리의 삶이 우리의 것이 아닌 지경까지 이름
기타 참고
라이프해커 블로그
http://simpleblogging.tistory.com/129
단순화
1. 핵심ㅇ르 간파한다.
2. 나머지는 제거한다.
p13-14.
"덜 하기 법칙"
1. 제한 두기
2. 핵심 파악하기
3. 단순화
4. 집중하기
5. 습관들이기
6. 작은 것부터 시작하기
I.
p23-24
생산성에 관한 두 가지 법칙
첫 번째 법칙. 제한이 있으면 핵심적인 것만 선택하게 된다. 그러니 모든 일에 제한을 두는 법을 배워라
두 번째 법칙. 핵심적인 것을 추려내면서 우리는 최소한의 자원을 가지고 최대의 효과를 내는 길을 찾는다. 항상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핵심요소를 선별하라.
p25-26.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일 가려내는 방법
1. To Do List 확인. 계속적인 효과, 경력에 영향, 장기 목표와 연관성과 중요성등 자문
2. 자신이 세운 목표 중심으로 생각
p31-32
제한을 둠으로써 얻는 이득
-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단순화하여 스트레스 줄임
- 집중 가능
- 중요한 것 집중
- 성과
- 타인에게 "내 시간도 소중하다" 알림
- 효율성
p33.
제한의 범위 = 부담 + 발전 희망
II.
p41-43.
핵심가려내기 질문들
1. 내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는?
2. 나의 목표는?
3. 나의 선호도는?
4. 내게 가장 중요한 것은?
5. 더 큰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6. 장기적 효과는?
7. 필요한 것 vs. 원하는 것
8. 비핵심적 제거
9. 가려내기 반복
III.
p48.
단순화 = 비핵심적 제거
비핵심적인 업무 거절할 줄 알아야 함.
내 시간은 내가 먼저 소중히 여겨야지 남들도 소중한 줄 암
IV.
p51.
하나에 집중하기 : Single Tasking. MIT(Most Important Task)
현재에 집중하기
지금하는 일에 집중
긍정적인 것에 집중
V.
p61.
1. (인생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한 가지 습관 정하기
2. 계획잡기 : Trigger정하기
3. 목표 알리기 : on-line or 지인등
4. 매일 진행상황 보고
5. 자축
p65.
- 한 번에 한 가지 습관만
- 목표를 아주 쉽게
- 측정 가능한 목표 선택
- 일관성(매일 같은 시간)
- 매일 보고
- 긍정적 태도
VI.
p71.
작은 것부터 시작
- 한 가지에 집중하게 해 줌
- 에너지와 열의가 더 오래 지속
- 실행하기 쉽다
- 성공을 보장
- 점진적인 변화가 더 오래 간다
p77.
"한 가지 목표"시스템
1. 한 가지 목표 선택 : 절실하며 6~12개월 기간
2. 하위 목표 세분화
3. 이 주의 목표 설정
4. 그 날의 과제
p81. Project 정의 = 완성하는데 하루 이상 걸리는 일
p85. 장기 Project는 단기 Project로 세분화
* 끝내는 것에 초점 맞추기
- 마음 속에 결과를 그려보라
- Projec를 Task로 세분화
- MIT 3개 설정 및 완수
- 진행상황 계속 점검
p89.
Project 결정권이 타인에게 있다면,
- 자신만의 리스트 작성
- 시간 끌기
- 상사와 협의 & 선택하게 함
p94.
MIT의 세 가지 과제중 최소 한 가지는 "한 가지 목표"와 관련
p101.
몰입(flow) Tip
1. 자신이 좋아하는 일
2. 적당한 수준의 난이도
3. 방해 요소 사전 제거
4. 몰두
p104.
To Do List는 짧게
일괄처리로 효율화 : 전화, 이메일, 잡일, 문서업무, 회의 등
p111.
- 온라인 계정 수 줄이기
- 이메일 확인하는 시간 제한 두기
- 받는 메일 수를 줄일 것
p122.
받은 편지함 비우기
1. 임시 폴더를 활용하여 빈 상태 유지, 차후 정리
2. 이메일 밖으로 옮겨 처리
3. 최대한 빨리 처리
4. 삭제를 주저하지 말 것
5. 받은 편지함 비우기
p125. 답장 덜 쓰기 : 5문자 이하로 보내어 시간 절약
p127.
인터넷 사용 줄이기 - 知覺 : 실태점검 > 의식 : 계획수립 > 집중 : 차단 > 훈련 : 충동 극복
p136.
단순한 파일링 시스템
1. 없앤 다음 정리 : Inbox에 모두 넣기 > 차례로 검토 > 버리거나 남에게 주거나 보관
2. 단순한 파일링 : 그냥 철자순 관리
3. 즉시 처리
4. 준비물은 항상 충분하게 준비
5. 점차 서류 줄이기
- 참고자료는 on-line으로 정리
- 문서 줄이기
- 출력 X
p149.
모든 책임을 처음부터 한꺼번에 떠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책임은 한 번에 하나씩... 따로 떼어놓고 보면 부담스렇게 느껴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러나 그것들이 서서히 누적되어 우리의 삶을 집어 삼기고, 결국 우리의 삶이 우리의 것이 아닌 지경까지 이름
기타 참고
라이프해커 블로그
http://simpleblogging.tistory.com/129
'업무 Know-h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팁] 주석다는 법, 출처 쓰는 법 (0) | 2012.06.29 |
---|---|
[노무] 시공참여자제도 (0) | 2011.11.06 |
"장인으로 임하는 각오" 야마시타 타츠로가 말하는 직업 (1) | 2011.08.29 |
[좋은 글쓰기] 왜 세 번째 스트라이크를 놓치면 아웃이 아닐까? (0) | 2011.06.05 |
[노무] 간질 질병자와 간질증세 응급조치중 상해자의 재해처리 (0) | 2011.06.01 |